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8월, 2022의 게시물 표시

정해진 미래에 투자하라는데..

 흔히들 ‘정해진 미래’에 투자하라고들 한다. 무엇이 정해진 미래일까? 내가 앞으로 살아갈 최대 60년이나(100살까지 산다면!), 내 아이가 살아갈 세계까지는 모르겠지만, 내 경제력이 유지될 2~30년 정도만 내다보자고 하면 제법 명확한 것 같다. 첫째, 앞으로 2~30년간 기후변화의 방향은 역전되지 않을 것 이다. 둘째, 비슷한 기간에 걸쳐 세계 인구는 더 증가할 것 이다. 셋째, 비슷한 기간에 걸쳐 농업 생산은 인구 증가를 따라가지 못할 것 이다. 넷째, 사람은 살아 있는 한 먹어야 하고, 아무리 잘 먹더라도 늙으며, 언젠가는 죽는다. 마지막으로, 인류는 어떻게든 살아남기 위해서 발버둥칠 것이다. 그렇다면 정해진 미래 속에서의 경제적 수혜를 받을 수 밖에 없는 곳은 어디일까? 첫째,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에너지 전환과 관련된 그린 산업 은 구조적으로 성장할 수 밖에 없다. 둘째,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이나 암, 인구 고령화와 관련된 바이오 및 헬스케어 산업 도 구조적으로 성장할 수 밖에 없다. 셋째, 세계 인구 증가와 기후 변화에 연관된 농산물 가격과, 농업의 중요성 은 갈수록 커질 수 밖에 없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투자의 대상은 '나 자신' 이다. '정해진 미래'라는 것은 방향성을 말하는 것이지 과정에서의 무변동성을 말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미래는 정해져 있을 지언정 내가 충분한 기간동안 충분한 금액을 투자할 수 없다면 내 투자의 미래는 정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일단 건강해야 하고, 다음으로 계속해서 소득을 유지해야, 내가 생각하는 ‘정해진 미래’에 ‘투자’라는 걸 할 수 있는 것이다. 더 높은 확률로 건강을 유지하려면, 지금 수면과 식사, 운동에 시간과 돈을 투자해야 한다. 더 높은 확률로 소득을 유지하려면, 지금 업무 내, 외적으로 공부에 시간과 돈을 투자해야 한다. 결국, 뭔가 알아서 되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내가’ 끊임없이 공부하고 실천하는 것| 만이 유일

야근이 생산성을 망치는 방식

오랜만에 회사에 갔다가 새벽 1시가 다 되어 퇴근했다. 가뜩이나 사람이 부족한 부서에 일이 몰린 와중에 내가 떠날 것이 예정되어 있어 원래라면 내가 했을 일을 떠안고 있는 친구를 두고 그냥 퇴근할 수가 없었다. 사정은 어찌됐든, 회사에서 택시로 집에 들어오자마자 자리에 누운 게 새벽 1시 반, 아침 영어공부를 해 5시간만 자고 일어난 게 6시 반이다. 아무튼 일어난 직후라고 한 시간 영어공부는 어떻게 했는데, 아이 어린이집 등원시키기 전에 아이 밥먹는 옆에서 쓸데 없이 유튜브 피드를 뒤지고 있는 자신을 발견했다. 불과 10~20분이었지만, 평소에 바빠서 아이와 시간도 얼마 못 보내는 주제에 금쪽 같은 시간을 버렸구나 싶고, 버린 시간에 할 일 못하면 그 일 때문에 시간이 모자라고, 시간이 모자라면 체력이 부족하고, 체력이 부족하면 괜한 보상심리에 시간을 쓸 데없이 쓰는 악순환이 뻔히 보여서 재빨리 아이에게 사과하고 핸드폰을 껐다. 많은 사람들이 시간이 없어서 생산적인 일을 하지 못한다. 아니, 하지 못한다고 변명한다. 정말 그런지는 각자 스스로를 진지하게 돌아봐야 할 일이 아닐까. 시간 관리든 데일리 리포트든 마음 챙김이든, 약간의 문제의식이라도 느껴지면 뭐라도 하나는 시도하는 게 선순환으로 들어가는 좋은 시작이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