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속팽창하는 우주 (from pixabay) "예술에서든, 과학에서든, 혼자서 하든, 팀을 이루어서 하든, 디테일과 씨름하며 심혈을 기울이는 작업은 솟구치는 상상력과 용기 있는 우상파괴적 행동만큼이나 필수불가결한 부분일 것이다." - 혁신의 뿌리, p10. 그렇다. 사실은 이게 전부인 게 아닐까? 그런 생각이 들었다. 노벨상을 수상한 과학자들을 보면, 수상하지 못한 사람들보다 예술 쪽의 취미를 함께 갖고 있는 비율이 높다는 것은 잘 알려진 이야기다. 누군가는 이게 직관적이지 않다고 얘기하더라마는, 우리의 뇌에서 어떤 연결이 일어나면서 새로워 보이는 아이디어가 떠오르기 위해서는 적당한 휴식과 다양한 관점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충분히 납득이 되는 이야기인데... 과연 앞으로도 영원히 그럴까? 혹은 예술적인 취미가 과학적인 성취에 주는 영향은 줄어들지는 않을까? 이언 블래치포드, 틸리 블라이스, " 혁신의 뿌리 ", 브론스테인, 2021. 사실 그럴 것이라는 게 이 책을 읽으면서 느껴야 하는 점인 것 같은데, 거꾸로 그렇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과학과 기술, 그에 수반한 산업의 발전이 대중의 마음을 사로잡고 인류에게 장밋빛 미래를 안겨줄 것이라는 기대감만을 심어준 시기가 있었다. 그 때 사람들은 뻔히 눈으로 '보면서'도 그 원리를 알지는 못했던 많은 자연현상들이 과학적 방법론을 통해 설명되는 것에 경탄했고, 그 존재조차 그려보지 못했던 수단을 통해 행동이나 사고의 반경이 확장되는 것에 열광했다. 이 시기의 과학은 모두가 보고 느낀 것을 하나하나 조악하게나마 설명해나가는 단계에 머물러 있었고, 우리의 감각을 일깨우는 예술은 과학이 탐구하는 영역을 함께 헤쳐나갈 수 있었다. 지금은 어떨까? 과학이 탐구하는 영역은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에 의해 138억 광년의 반경을 갖는 공간으로 확장됐고, 찰스다윈의 진화론으로 인해 생물 다양성의 기본 메커니즘 단계로 깊어졌고, 양자역학으로 인해 우주의 기본입자를 찾아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