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에게 확신을 줘. 10년쯤 전에 지금의 아내와 결혼에 대해서 진지하게 논의를 하던 중에 들었던 말이다.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았답니다.'로 끝나는 동화 속 왕자님이 바로 나라는 것을 증명이라도 해야 되나?'라는 생각이 머리를 스치면서 굉장히 당황했던 기억이 지금도 선명하다. 분명히 다른 무언가로 마음 상하는 게 있었던 것이었을텐데, 당시의 나는 곧이 곧대로 '확신을 얻는다'는 말에 꽂혀서 '결혼은 상대와 함께 살아가겠다는 결심을 하는 것이지 상대에게 확신을 당하는 게 아니다'는 취지의 입바른 헛소리를 지껄였더랬다. 감사하게도 맥락적으로 헛소리인 것보다 입바른 소리긴 하다는 데 집중해준 아내 덕분에 지금까지 그럭저럭 괜찮게 서로 의지해가면서 살아오고 있지만, 지금 생각해보니 정말 운이 좋았을 뿐이라는 생각에 아찔한 기분이 든다. 피트 데이비스, " 전념 ", 상상스퀘어, 2022. 이러한 예는 끝도 없이 많지만, 이쯤이면 이미 충분히 이해했을 것이다. 유대는 느슨해졌고, 신뢰는 얕아졌으며, '선택지 열어두기'가 이 시대의 모토가 됐다. <전념>, p83. 그건 그렇고, 왜 이제와서 그 때의 기억을 떠올렸냐면, 이 책을 읽었기 때문이다. 저자가 '무한 탐색 모드'로 정의하는 문화가 지배하는 현대사회에서의 '전념(Dedicated)'이라는 가치에 대해서 얘기하고 있는 이 책은 선택지를 열어두는 것의 장점이 이제는 보다 단점으로 작용하는 상황에서 자발적 헌신을 통해 개인의 행복과 사회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부모의 신분에 종속된다거나, 가업을 이어야만 한다거나, 결혼의 상대를 부모가 골라준다거나, 어떤 이유에서든 아이가 생기면 낳아서 길러야 한다거나, 다양한 모습의 비자발적 헌신과 그에 따른 불행은 선택지를 열어두는 것이 기술적으로 가능해지고 사회적으로 인정되면서 줄어들었다. 하지만 선택지 열어두기의 문화가 지배적인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