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은 쉽다.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결정하는 것만 빼면." - 언젠가 쓴 내 글에서 발췌 내 인생 최고의 자기계발서 중 하나인 제임스 클리어의 < 아주 작은 습관의 힘 >을 읽고 썼던 서평의 첫 문장이다. 빈약한 의지로도 몸에 좋지만 입에 쓴 약을 계속해서 삼키는 습관을 어떻게 만들어갈 수 있는지를 알려준 정말 좋은 책인데, 전제는 '몸에 어떻게 좋은지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책에 따르면, 먼저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결정'하고, 다음으로 '작은 성공들로 스스로에게 증명'하면 변화는 쉽게 만들 수 있는데, 작은 성공을 만드는 습관은 책을 보고 따라하면 된다지만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는 내가 정해야 하는데, 나에게는 이게 가장 어려운 문제였다. "생산성이란 여러분에게 가장 중요한 것을 추구할 자유를 주는 것이다." - 초생산성, p50. 이번에도 어김없이 이 문제에 마주했다. '나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도대체 뭐지? 지난 2년간 뻘줌함을 무릅쓰고 부서에 새로 합류한 모든 신입인력 및 같이 일하는 부서원들에게 면담을 핑계로 그들의 '꿈'이 무엇인지 물어봤었다. 많지는 않지만 대략 10명 가까이 물어본 것 같은데, 대체로 종합해보자면 '특별한 꿈은 없지만 하루하루 만족하며 평범하게 살고 싶다는' 것이었다. 즉, 꿈 같은 거 생각도 해 본 적 없는 게 보통이라는 것이다. '행복'이라는 건 너무나 보편적이고 막연한 욕구라 우리가 생산성이나 자기 계발을 얘기할 때의 어떤 지향점으로서의 '꿈'이 될 수는 없는 것 같다. 특히 진정한 생산성이란 무엇인지를 더욱 파고들어서 효율적이나 효과적이지는 않은 일들을 쳐내려고 하면 더더욱. 마이클 하얏트, "초생산성", 로크미디어, 2021. 마이클 하얏트의 < 초생산성 >은 그런 의미에서 굉장히 불편한 책이다. 앞뒤 다 떼고 얘기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