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봄 무렵, 나는 책상에 앉아, 죽은 뒤 하고 싶은 말을 떠올리려 애를 썼다. 하지만 아무 생각도 나지 않았다." - 디지털 시대의 사후 세계, p335. 별 이유 없이 자기 계발서를 싫어하던 시절이 있었다. 특히 와 닿지 않던 말 중에 '내일 세상이 망해도 한 그루의 사과 나무를 심는'다든지, '내일 당신이 죽는다면 오늘 하고 싶은 일을 지금 당장 하라' 따위의 말들이 있었는데, 딱 드는 생각은 '어쩌라고' 였다. 맥락은 조금 다르지만 결국 현재에 충실하기 위해 끝을 생각하라는 거였는데, 도무지 끝을 떠올릴 수도, 현재에 충실하라는 게 어떤 건지도 실감할 수가 없었다. 십수년이 지나 정말 그 때와는 비교도 안 되게 열심히 살고 있는 지금도 여전히 인생의 끝이라는 건 쉽게 떠오르지 않는다. 머리로는 삶의 유한함을 알고, 시간의 부족함을 아쉽게 느끼고, 문득 돌아보면 체력이 예전 같지 않음을 실감하지만, 그래도 어떤 형태로든 죽음이라는 것을 실감하지는 못한다. '모든 것이 기록되는 디지털의 시대에 죽음이란 남겨진 사람 혹은 죽은 본인에게 어떤 의미인가?' 그렇게 열심히 사는 와중에 재미 있는 책을 읽었다. 디지털의 시대에 죽음이란 어떤 의미인가? 우리는 누구나 디지털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다양한 디지털 발자국을 남기고, 한계비용이 극도로 낮아진 상황에서 이 발자국들은 발자국 주인의 생사와 무관하게 오래도록, 혹은 영원히도 남는다. 발자국의 주인이 생물학적으로 죽었을 때, 남겨진 사람들 - 가족이나, 온/오프라인 친구, 지인들 - 이 고인을 기억하는 방식 또한 영향을 받는다. 전통적으로 고인의 유산에 대한 접근 권한과 통제 권한을 부여받았던 가족들은 더 이상 그 권리를 자동적으로 인정받지 못한다. 오히려 그 권한은 고인이 생전에 디지털 세계에서 가까웠던 친구, 혹은 그 플랫폼을 운영하는 기업이 가진다. 점차, 그리고 이미 생각보다 더 빠르게 생활 반경이 온라인으로 옮겨가는 시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