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6월, 2021의 게시물 표시

6살짜리 아이에게 지수 개념을 가르칠 수 있을까?

내 6살짜리 아이에게 얼마 전까지 세상에서 가장 큰 수는 '백천무한'이었다. 아직 하나하나 차근차근 세어 나가면 100 넘게도 셀 수 있긴 하지만, 여전히 68 다음은 뭐냐고 물으면 '13?' 이렇게 아무 숫자나 생각나는대로 얘기하는 게 아이의 수준인데, 백 다음에는 천이 있고, '무한'이라는 개념이 존재한다는 걸 어디서 줏어들은 모양인지, '엄청 많다'는 얘기는 모두 다 '백천무한개'로 퉁치던 게 불과 한두달 전이다. 그런데 어느 순간 이 녀석이 '조'라는 게 있다던데, 이러면서 또 아는 척을 하기 시작했다. 머리가 아파온다. '억'이라는 단위가 있는 줄도 모르는 아이에게 이걸 어떻게 설명해줘야 하나? 일단 '만'과 '조' 사이에는 '억'이라는 게 있다고 설명은 해 줬는데, 사실 '만'과 '조' 사이에는 '억' 말고도 '십만', '백만', '천만'도 있고, '십억', '백억', '천억'도 있으며, 조 다음도 같은 모양이로 계속 늘어난다는 것은 또 어떻게 설명해주면 되지? "또한 우리는 모두 머리 속에 일종의 숫자 선, 즉 마음 속 숫자 축을 갖고 있어, 계산할 때 그 축 위에서 움직이는 법을 배운다." - 우리의 뇌는 어떻게 배우는가, p208. 나름 고등교육을 받아서, 실수 축과 허수 축, 도메인 전환과 같은 개념을 섭렵한 아빠와 달리 이제 6살인 아이는 실수 축에서 정수, 그 중에서도 자연수 영역의 일부에 대해서 이런 심상을 만들어가야 하는 단계인데, 여기서 1씩 세기로 가기에는 억이니 조니, 너무나 험난한 영역의 얘기인 것이다. "놀랍게도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가 2차원 지도상에서 데이터를 나타내는 걸 배울 때 이 영역이 활성화된다. 그 데이터가 공

[책 얘기] 우리의 뇌는 어떻게 배우는가 (2부. 우리의 뇌가 배우는 법)

 모처럼의 대박 책을 읽고 있어서, 어줍잖은 서평이 아니라 책 자체의 소개 및 조악한 요약을 해두려고 한다. 스타니슬라스 드앤, " 우리의 뇌는 어떻게 배우는가 ", 로크미디어, 2021. 책의 구성을 보면, 1부가 "배움이란 무엇인가?"로, 기계학습이 모방하고자 하는 인간의 학습특성으로 살펴본 배움의 7가지 정의와 우리의 뇌가 기계보다 효율적인 학습 능력을 갖고 있는 이유를 설명한다. 2부는 "우리의 뇌가 배우는 법"인데, 뇌가 발달하는 과정에서 유전자 수준에서 갖고 태어나는 지식과 배움을 통해서 획득하는 지식이 어떻게 통합되는지, 특정 영역의 뇌가 발달하는 과정에서 신경가소성이 극대화되는 시기와 교육이 이 시기를 활용하는 방법 등을 설명한다. 3부는 "배움의 네 기둥"인데, 우리 뇌가 지식을 습득하는 메커니즘으로 볼 때 어떠한 학습에 필수적인 네 요소인 주의, 적극적 참여, 에러 피드백, 통합에 대해서 얘기한다. 내 기억 효율을 위해 조악하게나마 요약한  1부 내용은 여기:  [책 얘기] 우리의 뇌는 어떻게 배우는가 (1부. 배움의 정의) 이번 글은 2부에 대한, 마찬가지로 조잡한 요약이다. 3. 아기들의 보이지 않는 지식 표면적으로 볼 때 새로 태어난 아기는 지식이 전혀 없는, 일종의 백지 상태로 보이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생후 몇 개월만 되어도 아기들은 세상이 '일관성 있게 움직이고, 공간을 차지하며, 이유 없이 사라지지 않고, 동시에 서로 다른 두 곳에 있을 수 없는 물체들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안다. 이러한 아이들의 직관은 다양한 실험을 통해 거듭 확인되고 있으며, 아기 스스로도 다양한 실험들 - 이라고 쓰고 실수 혹은 사고라고 읽는 - 을 통해 세상에 대한 자신의 이론을 차차 가다듬는다. 아기들은 숫자에 대한 추상적인 직관 또한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대표적으로 들려준 음절의 수와 동일한 수의 물체가 담긴 사진에 더 관심을 가지는 실험 결과로 이를

[책 얘기] 우리의 뇌는 어떻게 배우는가 (1부. 배움의 정의)

모처럼의 대박 책을 읽고 있어서, 어줍잖은 서평이 아니라 책 자체의 소개 및 조악한 요약을 해두려고 한다. 스타니슬라스 드앤, " 우리의 뇌는 어떻게 배우는가 ", 로크미디어, 2021. 책 제목은 < 우리의 뇌는 어떻게 배우는가 >이고, 부제는 <배움의 모든 것을 해부하다>이다.   "인간을 한마디로 정의한다면 '배우는 존재'라고 할 수 있다. 과연 배움이란 무엇인가? 우리의 뇌는 어떻게 배우는가?" "인간의 학습 능력에 관한 모든 것을 철저히 해부하다!" 표지에 보면 다음과 같은 문장들이 적혀 있는데, 과학이라는 분야에 끝이 없다는 것을 생각하면 조금 과한 멘트라는 생각이 들긴 하지만 마케팅을 생각하면 충분히 동의할 수 있는 말이다. 저자는 스타니슬라스 드앤이라는 분인데, 요렇게 생긴 아저씨고 영문 wikipedia에 따르면, 작가이자 인지신경과학자이이자 2017년 현재 콜레주 드 프랑스의 교수이자 INSERM Unit 562 "Cognitive Neroimaging"이라는 국책연구기관의 Director라고 되어 있다. 뭐 어려운 얘기 할 것 없이, 이 분야에서는 소위 전문가라는 거고, 이 책 전에도 <숫자 감각>, <뇌의식의 탄생>, <글 읽는 뇌> 등 관련된 여러 권의 책을 낸 경력 있는 작가라 글솜씨에 대해서도 충분히 기대할만하다. 중간까지 읽어본 바로도, 흥미진진하게 빠져들게 하는 글까지는 아니지만, 충분히 잘 읽히는 글솜씨라고 감히 평가해본다. 책의 구성을 보면, 1부가 "배움이란 무엇인가?"로, 기계학습이 모방하고자 하는 인간의 학습특성으로 살펴본 배움의 7가지 정의와 우리의 뇌가 기계보다 효율적인 학습 능력을 갖고 있는 이유를 설명한다. 2부는 "우리의 뇌가 배우는 법"인데, 뇌가 발달하는 과정에서 유전자 수준에서 갖고 태어나는 지식과 배움을 통해서 획득하는 지식이 어떻게

차멀미가 날 때는 앞을 봐야 한다

어릴 때 아버지께서 운전하시는 차를 타고 가족 여행을 가면 나는 꼭 어디에 도착해서야 잠에서 깨곤 했다. 그 때마다 조수석의 어머니께서는 좋은 경치는 하나도 못 보고 밥 먹을 때만 일어난다고 핀잔을 주곤 하셨는데, 아무리 깨어 있으려고 해도 차가 움직이기 시작하면 난 여지 없이 곯아떨어졌다. 성인이 된 후에 생각해보니 그 시절의 나는 차멀미를 했던 것이었다. 멀미라는 건 눈과 귀 - 정확히는 전정기관 - 에서 감지되는 움직임에 대한 정보 불일치를 뇌가 불편하게 느끼는 현상이라고 이해하면 얼추 맞을텐데, 차에서 스마트폰을 볼 때 속이 더 메슥거리거나, 운전자는 멀미를 하지 않는 걸 생각해보면 된다. 차멀미를 할 때는 먼 산을 보라거나, 창문을 열고 바깥 공기를 마시라거나 하는 민간요법이 전해지지만,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다 소용 없는 일이다. 달리는 차 창문을 열고 머리 날리게 바람을 맞으면서 볼 것도 없는 먼 산을 아무리 노려보고 있어도, 멀미는 잦아들지 않았다. 조수석에라도 앉을 수 있다면 좀 나았겠지만 조수석에 갈 짬은 전혀 아니었으니 가장 확실히 멀미를 피하는 방법은 잠들어 버리는 것이었는데, 이걸 어느 정도 인지한 다음에는 메슥거림이 느껴질 때는 일부러 눈을 감고 잠드려고 노력했던 것 같다. 아마 이 기전이 몸에 쌓이면서 차만 타면 자는 식으로 몸이 반응한 게 아닐까.  ""과학의 속도가 윤리적인 이해 수준을 넘어서면, 사람들은 각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표현하느라 애를 먹게 된다." 2004년 하버드 대학교의 철학자 마이클 샌델이 쓴 글이다." - 유전자 임팩트, p620. 어른이 되면서 멀미 자체에 대한 민감도도 떨어진데다 이제는 어디 갈 때 거의 운전석에 앉기 때문에 멀미에 시달릴 일은 거의 없다. 하지만 현기증이 날 정도로 급변하는 세상과 기술의 발전을 보고 있으면 가끔 속이 울렁거릴 때가 있는데, 이럴 때마다 어린 시절의 기억이 떠오르곤 한다. 케빈 데이비스, " 유전자 임팩트 &q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