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이켜보면, 내 어린 시절은 소설로 가득 차 있었다. 그것이 소위 훌륭한 고전 문학이든, 싸구려 무협지든.
‘이야기’ 자체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억은, 어머니께서 이런저런 동화를 읽으시는 걸 녹화해둔 카세트 테이프다. 여섯 살 즈음의 기억이어서 형님한테 물어보니 산업의 역군으로 사우디에 나가 계시던 아버지께 보내는 음성편지 개념으로 내가 네 살 즈음 시작해서 힘들이지 않고 동화책을 반복해서 읽어주는 수단으로 변화한 모양인데, 내용도 제목도 기억나지는 않지만 카세트라는 걸 다룰 수 있게 되면서 제법 좋아했었나보다 싶게 거의 35년이 지난 지금도 기억에 어렴풋이 남아 있다.
‘읽기’에 본격적으로 재미를 들이기 시작했던 건 아마도 초등학교 때였나, 부엌과 화장실을 가르는 벽면에 세워진 책장 가득 꽂혀 있던 수많은 책 중에 세계 위인전, 공상과학소설, 추리소설의 전집을 읽기 시작하면서부터였던 것 같다. 제일 쉬운 위인전부터 — 실질적으로 픽션에 가까운 — 공상과학소설, 그리고 조금 더 어려운 추리소설 전집을 읽어나가면서, 소설의 전개를 참을성 있게 읽어가다보면 어느 순간 흥미진진한 이야기의 흐름에 빠져들며 극적인 마무리로 이어지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는 것을 배웠다.
중학교에 올라가서는 그 당시 동네에 많았던 ‘도서대여점’이라는 곳을 통해 무협지라는 장르에 탐닉했더랬다. 나름 3권짜리 장편소설을 하루이틀 밤새 다 읽고 다음 책을 빌리고 하느라 용돈 부족에 허덕였는데, 그 때 읽은 책들이 나중에 알고 보니 ‘신무협’이라는 장르의 초기작으로 분류되는, 거의 신적 존재로 성장하는 남자 주인공과 그에게 마음을 빼앗기는 미녀들로 가득한, 약간 B급 작품이었다는 얘기도 있지만 중요한 건 아니다.
고등학교 때는 제 깐에 조금 더 문학성을 따졌는데, 결국 다시 무협지와 — 이 때 김용의 작품들이나, 국내 신무협 작가들 중에서도 괜찮은 작가들 작품을 따져가면서 읽었더랬다 — 조금 더 장르를 넓혀서 판타지 소설들이 내 주요 관심사였다. 여기에 만화와 애니메이션, 그리고 게임까지. 현실 세계의 물리 법칙이나 사회 제도의 틀에 메이지 않은 자유로운 상상의 세계관 속에서 ‘인간’이라는 존재를 다른 지적 존재의 관점에서 바라보거나, 결국 그런 세계에서 던지게 되는 철학적인 질문들이 신선했더랬다.
이런 취향은 거의 대학교 졸업할 무렵까지도 이어졌는데, 이제 와서 돌아보면 그 와중에 잘도 대학 진학도 하고, 학위도 따고, 입사도 했나 싶다. 아무튼, 머리가 굳고 현실 세계에서 잘 살아내는 것이 지상 과제가 된 지금은 거의 읽지 못하고 있지만, 봄을 고민하던 시기의 나는 나름 많은 문학 작품에 둘러쌓여 있었던 게 맞긴 한 것 같다. 별로 고상하지는 않았지만.
그러다 결국 ‘노블’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우리는 지금 문학이 필요하다>, p278.
이것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 시도 경극도 아니고 황실의 유학자들이 찬양하던 고대의 예술 작품도 아닌 이것을 아무도 뭐라고 불러야 할지 몰랐다고 한다. 그래서 새롭고 신기한 것, ‘노블novel’로 불렸을 뿐 이름도 없던 이 발명품은 결국 ‘노블’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새롭고 신기한 것. 지금은 우리가 ‘소설’이라고 부르는 문학 장르이고, 사춘기의 내 마음을 사로잡았던 것이며, 문학이 발명해 낸 여러 가지 발명품 중 하나이면서, 이전의 문학이 만들어낸 거의 모든, 그리고 이후에 만들어지는 모든 혁신을 담아내는 틀이다.
그것은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고 어둠 속에서 희망을 되살릴 수 있었다. 황홀감을 자아내고 믿기 어려운 나날로 이끌 수 있었다. 지루함을 몰아내고 하늘의 빗장을 벗길 수 있었다.
<우리는 지금 문학이 필요하다>, p13.
앵거스 플레처의 <우리는 지금 문학이 필요하다>는 문학의 역사가 발견한 혹은 발명한 — 저자는 이 모든 것을 의도적인 ‘발명’이라고 부른다 — 신경학적 테크놀러지 25가지를 그 자체로 문학적인 글로 풀어낸 책이다. 문학의 역사와 현대의 신경과학을 결합해, 문학의 어떠한 장치가 사람들의 용기를 북돋고, 마음을 따뜻하게 하며, 상대에게 공감하게 하고, 평정을 찾으며, 호기심을 자극하고, 비관과 슬픔을 극복하고, 자아를 수용하며, 삶에 활력을 불어넣고, 감정에 휩쓸리지 않으며, 더 나은 자신으로의 성장을 돕는지 알려주는데, 각각의 장치가 개발된 이야기와 그 장치 이면의 신경과학 그리고 그 장치를 담은 문학 작품들의 목록을 읽어나가다보면, 나도 모르게 읽고 싶은 문학작품의 목록이 늘어나는 걸 경험할 수 있다.
이 글을 쓰려고 책을 다시 들춰보면서, 언젠가는 읽어봐야겠다고 생각한 작품을 나열해봤는데, 20편이 넘어간다. 최선을 다해 세상을 살아내는 데 몰두하다보니 한정된 시간에 픽션을 읽는 것을 배제해왔는데 일 년을 돌아봐야 할 때마다 반성하는 부분을 보완해줄 문학적 장치를 가진 작품을 읽어보는 것도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단지 실제로 우리인 다른 사람들에게 사랑을 베풀기만 하면 된다.
<우리는 지금 문학이 필요하다>, p503.
그리고, 이 책을 읽으면서 현재 나의 치우친 독서는 내가 나의 필요에 의해 선택한 것이지, 내 어린 시절에는 다른 필요가 있었던 것이라는 걸 깨달은 것이 하나의 큰 수확이다. 나의 아이에게 지식의 습득을 위한 독서 뿐만 아니라, 순수하게 즐겁기 때문에 하는 독서를 권하고, 그것이 무엇이 됐든 다양한 문학 작품을 보면서 상상력의 끝까지 다른 존재가 되어 나와 인류를 바라보고, 다른 사람의 입장에 서 보고, 공감하면서, 사랑을 베풀 수 있는 기회를 자칫 뺏을 수도 있었다는 생각을 하면 조금은 아찔하다. ‘지난 10년 동안 출시된 문학 관련 책들 중에서 가장 중요하고도 유용한 책,’ ‘엄청난 즐거움을 선사하는 책,’ ‘내 아들이 어렸을 때, 이 책이 있었더라면 한 글자도 빼 놓지 않고 읽어줬을텐데...,’라는 극찬이 아깝지 않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