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유레카 모먼트는 없다

 

아르키메데스의 유레카 모먼트 (from Wikipedia)

유레카 모먼트라는 말이 있다. 그리스의 철학자(철학자라고 해야겠지?) 아르키메데스가 왕으로부터 순금으로 만들었다는 왕관의 순도 증명 방법을 고민하다가 목욕물이 넘쳐흐르는 것을 보면서 답을 깨달으면서 외쳤다는 유명한 말에서 파생된 표현이다. 아마도 거의 모든 사람들이 살면서 크든 작든 이런 순간을 겪기 때문에 더더욱 직관적으로 잘 와닿는 표현이고, 그만큼 대중적으로 많은 오해가 있는 것 같은 — 이 주장을 입증할 시간과 의지가 부족하다는 — 표현이기도 하다.


핵심은 ‘고민하다가’이다, ‘깨달으면서’가 아니라.
우리의 뇌가 작동하는 방식은 근본적으로 신경회로의 연결이 변화하는 — 형성되거나, 강화되거나, 쇠퇴하는 — 과정이다. 우리가 어느 순간 이전에 몰랐다고 생각했던 것을 깨닫는 경험은 이미 알고 있는 정보가 연결되는 경험이다. 이야기 속의 아르키메데스는 통에 가득찬 목욕물에 몸을 담그기 이전에 이미 부피와 질량에 대해 알고 있었고, 물질마다 이 비율이 다르다는 것도 알고 있었다. 단지 순금 왕관의 순도를 측정하는 문제에 있어 왕관과 동일 질량의 순금이 밀어내는 물의 양을 비교하는 비파괴적 검사 방법을 떠올리지 못하고 있었던 것 뿐이다. 자신의 몸이 밀어내는 물의 양을 보면서 원래 알고 있던 지식들이 연결되며 오래 고민했던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았다는 확신을 느꼈을 때 아르키메데스가 얼마나 짜릿했을까. 왕이 의뢰한 것이라 하니, 어쩌면 이 해답에 그의 안녕이 달려있었을 지도 모르겠다(발가벗은 채로 뛰쳐나갈만하지 않을까ㅎㅎ). 그리고 그가 찾아낸 방법으로 왕관에 불순물이 섞여 있다는 것이 증명됐다는 훈훈한 이야기 뒤에 왕관을 만든 장인의 안녕이 위태로웠을 것이라는 생각도 해볼 수 있지만, 여기까지는 나가지 말자.

아무튼 이게 혁신의 아이콘인 잡스가 ‘커넥팅 닷’이라는 표현으로 설명한 것이고,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연결할 점의 존재가 필수적이라는 사실은 대중적으로 간과되는 것 같다. 그렇지 않다면 기를 쓰고 이런저런 공부를 하려는 사람들로 가득할 것이고, 우리나라의 도서출판 시장이 지금보다 몇 배는 커졌을테니까.


톰 올리버, "우리는 연결되어 있다", 브론스테인, 2022.


우리는 자신을 주변과는 분리되고 구분할 수 있는 별개의 주체라고 생각하지만, 신체에서부터 뇌와 마음에 이르기까지 여러모로 주변 세상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

<우리는 연결되어 있다>, p21.

‘나’라는 존재가 주위와, 그리고 세상과 얼마나 연결되어 있을지에 대한 생각에 대해서는 어떨까? 우리는 ‘나’라는 존재를 점으로 인식하지만, 사실은 무수한 점을 포함한 복잡한 연결 그 자체이고 심지어 우리가 ‘외부’라고 생각하는 환경과의 경계도 사실은 불분명하다는 사실, 즉 독립된 개인으로서의 ‘자신’이라는 개념이 우리 뇌가 만들어낸 착각에 불과할 수도 있다는 생각은, 우리가 유레카 모먼트에 갖고 있는 환상처럼 한순간 깨우칠 수 있는 생각은 아닌 것 같다.

하지만 진핵 생물로서 우리의 존재, 장내 미생물군과의 관계, 우리 신체를 구성하는 물질의 순환 주기, 우리가 주변 사람과 맺는 사회적 관계 등 이 모든 점들을 고려하면 — 점(dot)이다 — 우리가 우리 스스로에 대해서 세상과 독립된 개체로서의 ‘자신’이라고 느끼는 것은 일종의 환상이라는 점은 거의 명백한 것 같다.


개별 병리학을 버리고 상황을 정확하게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지만, 무릎을 치면서 ‘유레카!’를 외칠 깨달음의 순간은 없을 것이다.

<우리는 연결되어 있다>, p186.

톰 올리버의 <우리는 연결되어 있다>는 가능한 거의 모든 과학적 사실에 기반해 우리가 세상과 어떻게 얼마나 연결되어 있는지를 알려준다. 이 책을 읽고 나면, 여전히 ‘나’라는 존재를 독립된 자아로 느끼는 동시에, 이 느낌 자체가 나의 뇌가 진화적 필요에 위해 만들어낸 것일 뿐 실제로는 얼마나 주위 환경 그 자체와 영향을 주고 받는지 이해할 수 있다.

이 책을 읽는 과정은 일종의 유레카로 이어질 수 있지만, 이 책이 전해주는 지식 — 우리와 세상이 얼마나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지에 대한 인식 — 은 책에서도 말하듯이 점진적인 과정이며 한 순간의 깨달음으로 이루어질 수도 없고, 이뤄져서도 안 되기 때문에 이것이 어떤 순간일 수는 없다. 아마도 이 책을 읽으면, 각자의 배경지식과 세계관에 따라 조금 더 세상의 연결성을 수용하거나 덜 수용하겠지만, 읽기 전보다 세상이 덜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책에서도 얘기하듯, 인류가 당면한 복잡한 문제점들 — 기후위기라든지, 탈세계화라든지, 다양한 사회 문제들 — 은 환원주의적으로 해결 불가능한 것들이므로, 그 해결의 실마리라도 찾기 위해서는 우리가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인지하는 것이 우선이고, 그 시작이나 과정으로 탁월한 이 책을 꼭 한 번 읽어보시길 권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외국보다 한국 초코파이가 초코 함량이 더 높은 이유

여느 몹쓸 공돌이 개그  언젠가 돌아다니던 초코파이 초코 함량 계산식. 답은? 무려 약 31.8%다. 이 정도면 빈츠보다도 높은 함량일지도.. 자고로 무릇 공대생 혹은 공돌이라 하면 '일반인' - 여기서는 비 공대인 -이라면 알 필요도 없는 기호로 범벅이 된 수식을 붙들고 밤을 샌다든지, 거기서부터 파생된 온갖 과제를 하느라 밤을 샌다든지, 아무튼 이런저런 이유로 '자기들끼리' 머리를 싸메고 수시로 밤을 새기 마련이다. 일반적으로 밤을 샌다는 건 낮으로는 부족하다는 뜻이고 곧 '일반인'들과의 소통의 기회가 줄어든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러다보면 시나브로 쌓이는 전공 지식과 함께 '바깥 세상'에 대한 환상 그리고 '일반인'들과의 유머적 단절에 대한 두려움도 어느 정도씩 키우게 되는데, 이런 것들을 비틀어 탄생한 것이 공대 개그 혹은 공돌이 개그이다. 예를 들어 '외국보다 한국의 초코파이가 초코 함량이 더 높은 이유'를 자연스럽게 떠올릴 수 있다면 당신도 훌륭한 공돌이일 가능성이 높은데(힌트는 위 수식을 영어로 바꿔보라는 것이고, 답은 마지막에..), 무릇 공돌이라 하면 이렇게 공돌이를 위한 개그를 이해하고 웃을 수 있는 소양을 갖추게 되고, 일반인들은 해설이 있어도 결코 이해할 수 없는 수준의 개그까지도 즐기면서 모종의 동질감을 느끼기 때문에, 다시 일반인들과의 유머적 단절은 더 공고해진다. 이런 거에 웃고 있을 때가 아니라는 걸 어느 순간 깨달았다. - 출처: 나무위키 ' 공대개그 ' 페이지. 나 또한 정통한 공돌이로서 - 입사 전까지 같은 건물에 10년을 들락거렸다! - 유사한 과정을 거쳤고, 일요일 밤을 지배하던 주류 개그는 1도 모르지만 각종 공돌이 개그에는 피식거리는 단계에 도달했던 시기가 있었는데, 어느 날 이런 상황에 심각한 위기 의식을 느꼈다.  이대로 가다간 정말로 '질량이 없는 물질'만 만날 위기에 처해 있었던 것이다. 그 날로 있는...

차멀미가 날 때는 앞을 봐야 한다

어릴 때 아버지께서 운전하시는 차를 타고 가족 여행을 가면 나는 꼭 어디에 도착해서야 잠에서 깨곤 했다. 그 때마다 조수석의 어머니께서는 좋은 경치는 하나도 못 보고 밥 먹을 때만 일어난다고 핀잔을 주곤 하셨는데, 아무리 깨어 있으려고 해도 차가 움직이기 시작하면 난 여지 없이 곯아떨어졌다. 성인이 된 후에 생각해보니 그 시절의 나는 차멀미를 했던 것이었다. 멀미라는 건 눈과 귀 - 정확히는 전정기관 - 에서 감지되는 움직임에 대한 정보 불일치를 뇌가 불편하게 느끼는 현상이라고 이해하면 얼추 맞을텐데, 차에서 스마트폰을 볼 때 속이 더 메슥거리거나, 운전자는 멀미를 하지 않는 걸 생각해보면 된다. 차멀미를 할 때는 먼 산을 보라거나, 창문을 열고 바깥 공기를 마시라거나 하는 민간요법이 전해지지만,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다 소용 없는 일이다. 달리는 차 창문을 열고 머리 날리게 바람을 맞으면서 볼 것도 없는 먼 산을 아무리 노려보고 있어도, 멀미는 잦아들지 않았다. 조수석에라도 앉을 수 있다면 좀 나았겠지만 조수석에 갈 짬은 전혀 아니었으니 가장 확실히 멀미를 피하는 방법은 잠들어 버리는 것이었는데, 이걸 어느 정도 인지한 다음에는 메슥거림이 느껴질 때는 일부러 눈을 감고 잠드려고 노력했던 것 같다. 아마 이 기전이 몸에 쌓이면서 차만 타면 자는 식으로 몸이 반응한 게 아닐까.  ""과학의 속도가 윤리적인 이해 수준을 넘어서면, 사람들은 각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표현하느라 애를 먹게 된다." 2004년 하버드 대학교의 철학자 마이클 샌델이 쓴 글이다." - 유전자 임팩트, p620. 어른이 되면서 멀미 자체에 대한 민감도도 떨어진데다 이제는 어디 갈 때 거의 운전석에 앉기 때문에 멀미에 시달릴 일은 거의 없다. 하지만 현기증이 날 정도로 급변하는 세상과 기술의 발전을 보고 있으면 가끔 속이 울렁거릴 때가 있는데, 이럴 때마다 어린 시절의 기억이 떠오르곤 한다. 케빈 데이비스, " 유전자 임팩트 ...

6살짜리 아이에게 지수 개념을 가르칠 수 있을까?

내 6살짜리 아이에게 얼마 전까지 세상에서 가장 큰 수는 '백천무한'이었다. 아직 하나하나 차근차근 세어 나가면 100 넘게도 셀 수 있긴 하지만, 여전히 68 다음은 뭐냐고 물으면 '13?' 이렇게 아무 숫자나 생각나는대로 얘기하는 게 아이의 수준인데, 백 다음에는 천이 있고, '무한'이라는 개념이 존재한다는 걸 어디서 줏어들은 모양인지, '엄청 많다'는 얘기는 모두 다 '백천무한개'로 퉁치던 게 불과 한두달 전이다. 그런데 어느 순간 이 녀석이 '조'라는 게 있다던데, 이러면서 또 아는 척을 하기 시작했다. 머리가 아파온다. '억'이라는 단위가 있는 줄도 모르는 아이에게 이걸 어떻게 설명해줘야 하나? 일단 '만'과 '조' 사이에는 '억'이라는 게 있다고 설명은 해 줬는데, 사실 '만'과 '조' 사이에는 '억' 말고도 '십만', '백만', '천만'도 있고, '십억', '백억', '천억'도 있으며, 조 다음도 같은 모양이로 계속 늘어난다는 것은 또 어떻게 설명해주면 되지? "또한 우리는 모두 머리 속에 일종의 숫자 선, 즉 마음 속 숫자 축을 갖고 있어, 계산할 때 그 축 위에서 움직이는 법을 배운다." - 우리의 뇌는 어떻게 배우는가, p208. 나름 고등교육을 받아서, 실수 축과 허수 축, 도메인 전환과 같은 개념을 섭렵한 아빠와 달리 이제 6살인 아이는 실수 축에서 정수, 그 중에서도 자연수 영역의 일부에 대해서 이런 심상을 만들어가야 하는 단계인데, 여기서 1씩 세기로 가기에는 억이니 조니, 너무나 험난한 영역의 얘기인 것이다. "놀랍게도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가 2차원 지도상에서 데이터를 나타내는 걸 배울 때 이 영역이 활성화된다. 그 데이터가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