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6월, 2019의 게시물 표시

사랑하는 사람을 어떻게 후회 없이 보낼 수 있을까?

삶을 살아가다보면 대체로의 사람들은 누군가를 사랑하고, 사랑하는 누군가와 헤어진다. 내 길지 않은 삶과 넓지 않은 관찰, 상식을 근거한 논리만으로도 이를 성급한 일반화라고 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특별히 극단적인 삶을 살지 않는 한, 부모님을 사랑하고, 형제를 사랑하고, 내가 사랑하기로 선택한 배우자를 사랑하고, 나를 닮은 아이를 사랑하고, 혹은 반려 동물을 사랑한다. 그리고, 하나씩 떠나보낸다. 그들이 떠나가든, 내가 떠나든. 사회적 동물인 우리는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살아가고, 그 속에서 사람을 대하는 기술을 끊임없이 습득한다. 하지만 그 대상은 대체로 아직 죽음이 구체화되지 않은 사람들이며, 그 주체인 나 자신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생의 마지막 단계에 접어든 사람과의, 혹은 내가 그런 단계에 접어들었을 때의 대인 관계에 대해서는 자연스러운 경험을 통해 익숙해질 수 없는 것이다. 하물며 이런 관계에서의 실수는 만회할 기회조차 없으니 실수를 통해 배우기도 쉽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 시기에 서로를 대하는 방법을 익히지 않으면 안되는데, 삶이 죽음에의 과정인 이상 사랑하는 이와의 이별이란 피할 수 없는 사건이기 때문이다. 그야말로 다음이 없는 단 한번의 기회 에서 사랑한만큼 더 많이 남게 되는 후회를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서는 죽음의 과정과 죽어가는 사람을 어떻게 대하는 것이 좋은지, 그리고 나는 어떻게 죽어가고 싶은지 계속 궁리하지 않으면 안된다. 매기 캘러넌, "마지막 여행" 오랜 경력의 호스피스 간호사인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말기 환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주도적이고 편안한 죽음의 방법과, 그 주위 사람들이 그들을 적절히 도울 수 있는 방법이 있음을 알려준다. 약 10년 전 이 책을 읽었을 때, 그 전에는 생각도 해보지 못했던 '좋은 죽음'의 과정과 '호스피스'의 도움에 대해서 처음 알게 되었는데, 길지 않은 시간 뒤에 확정된 죽음을 앞두고 있는 환자...

퇴근길 택시에서 #2 - 자기 소개

시작한지 이틀만에 또 다시 택시를 타게 됐다. 일주일에 하나, 라고 해놨으니 안 써도 되지 않을까 하는 게으름을 겨우 억누르고 뭐라도 적어보기로 했지만, 결국 메타인지가 떨어져 30분의 귀가 중에 마무리를 못 하고 다시 나흘이 지나서야 마무리를 한다. 오늘의 주제는 나에 대한 것, 그 중에서도 제법 평범한 자기소개다. 글쓰기 연습 삼기도 괜찮고 처음 블로그를 열었으니 누가 와서 보는지와 무관하게 내 소개 정도는 해도 좋겠지 싶다. 나는 2019년 현재 38세인 직장인 남성이다. 요즘 정치나 경제 뉴스에도 나오는 5G 이동통신 기지국 장비를 개발하는 일을 하고 있으며, 이만큼만 얘기해도 회사 이름까지 공개한 것은 아닌가 걱정될 정도로 좁은 영역의 일인 게 고민이다. 구체적으로 하는 일은 기술표준 문서를 이해하고, 고객사의 니즈와 경쟁사의 동향, 그리고 우리 소프트웨어 구현팀의 여력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점을 찾아낸 다음, 이를 위한 소프트웨어 요구동작 및 사양을 문서화하는 일이다. 그리고 그 외 잡다하지만 본업보다 훨씬 많아지기도 하는 일들이 있긴 하다. 차치하고, 아무튼 내가 하는 일을 극도로 내 마음대로 일반화하자면, 글을 읽고 글을 쓰는 일이다. 위에서 '균형점'이라는 표현을 썼는데, 이게 제법 부서 간 이해관계가 엮이는 부분이 있다보니 요지경인 경우가 많다. 해서, 자연스럽게 부서 내, 부서 간 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해 관심이 많고, 사람을 대하고 설득하는 방법에 대해 항상 부족함을 느낀다. 특히 메일이나 문서 등 글로 소통할 때 나의 짧은 글솜씨와 상대방의 낮은 문해력이 합쳐져 발생하는 부정적인 시너지를 어떻게든 줄여보기 위해, 열심히 책을 읽고 글을 쓰지 않으면 안되는 환경으로 나를 밀어넣고 있다. 내가 글을 쓰기 시작한 이 공간이 아무도 없는 허허벌판이어서 내가 무슨 부끄러운 짓을 하든 흉보는 사람 하나 없으면 하는 마음도 있지만, 그보다는 누군가 찾아와서 내 부족한 글을 읽고 참을성 있게 뼈를 때려주고 가 주면 스스로 ...

처음으로 독서 모임이라는 것에 참여하게 되었다

처음 알았을 때부터 여건만 허락한다면 꼭 참여해보고 싶었던 씽큐베이션이 시즌2로 돌아왔다! 이번이라고 사정이 바뀌었을 리 없어서, 평일 평균 귀가시간 00시고 월평균 3~4회 주말근무를 하는 30개월 아이 아빠가 매주 1권의 책에 대한 서평을 쓰고 고정적으로 격주 오프라인 모임에 참여하는 것은 여전히 어림도 없는 일이라 포기해야 하나 하고 있었는데, 이번에는 <씽큐ON>이라는 온라인 모임이 있다! 사실은 뼈아대 영상이었나에서 이미 들어 알고 있었지만ㅋ 아무튼 공지가 뜨자마자 부랴부랴 준비해서 신청한 결과, 선정되었다는 메일을 받은 것이다. 씽큐베이션과는 달리 2주에 1권이라는 목표치도 어림잡아 평균 3~4주에 한 권씩 책을 읽고 있는 나에게는 딱 적당한 목표가 아닐까 한다. 살짝 버겁지 않을까 싶은 마음이 없잖아 있지만, 이렇게 굳이 블로그에 선정 사실을 공표하는 것도 내 자신을 조금 더 몰아붙여보려는 수작이다. 게다가 우연히 "완벽한 공부법"을 페이스북 광고를 보고 무슨 마음에서인가 이런 시건방진 제목의 책을 굳이 사서 읽은 뒤로 내가 가장 신뢰하는 책 추천 소스인 고영성 작가가 지정해주는 책을 떠밀려서라도 우선적으로 읽게 될 것이니 그것 또한 좋은 일이다. 아무튼 이번 기회를 통해 비록 온라인에서지만 독서에 대해 적극적인 여러 사람들과 좋은 책을 함께 나누는 경험을 해볼 수 있게 되어서 제법 신나하는 중이다.

퇴근길 택시에서 #1 - 시작하며

내가 다니는 회사는 평일 야간 근무 후 24시 이후에 퇴근하면 귀가 택시비를 지원해준다. 해서, 최소한 금전적인 부담은 없는 터에, 하는 일이 글 읽고 글 쓰는 것이다보니 다른 사람들 퇴근한 후 조용한 사무실에서 방해 없이 집중할 수 있는 것도 있고, 마침 성과를 많이 내야 하는 시기인 것도 있고 해서 체력...

폴 칼라니티, "숨결이 바람될 때"

그저 잔잔하고 울림이 있는 책이다.읽는 후 머릿속에 남은 주요한 키워드 세 개는 소명, 신앙, 가족. 요약을 하거나 평을 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을 듯 하고, 그저 내 마음에 가장 와 닿은 문단을 다시 적어봤다. "네가 어떻게 살아왔는지, 무슨 일을 했는지, 세상에 어떤 의미 있는 일을 했는지 설명해야 하는 순...

비트코인은 왜 통화로써 기능할 수 없나?

홍춘욱, "50대 사건으로 보는 돈의 역사"를 읽고 하는 뻘 생각 개인적으로 굉장히 신뢰하는 소스로부터의 강력한 추천이 있어 굳이 새 책을 바로 주문해서 연달아 두 번 읽은 책이다. 역사라는 이야기를 통해 경제와 경제를 움직이는 돈의 힘에 대해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매우 좋은 책이고, 직전에 읽은 "환율...

홍춘욱, "환율의 미래"

고영성 작가가 블로그에서 극찬했던 것을 봐뒀던 책이다. 경제 구성원으로서 경제라는 시스템 자체에 관심을 가져야하지 않나는 문제의식을 계속 가지고 있던 차에, 단편적으로는 알지만 사실은 뭔지 잘 모르는 '환율'이라는 것에 집중해서 나름 쉽게 설명한 책이라 읽는 내내 흥미도 유지되고 개념도 ...

블로그란 걸 시작하다.

태어나서 처음으로 블로그란 걸 만들었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작가들이 온갖 채널을 통해 글쓰기가 중요하고 그 시작은 서평이라고 하도 강조에 강조를 해서, '그렇다면 써보지 뭐' 하고 에버노트에 꾸역꾸역 써 왔었는데, 그 서평도 독후감도 뭣도 아닌 애매한 글들을 피드백도 없이 혼자 쓰다보니 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