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홍춘욱, "환율의 미래"

고영성 작가가 블로그에서 극찬했던 것을 봐뒀던 책이다.
경제 구성원으로서 경제라는 시스템 자체에 관심을 가져야하지 않나는 문제의식을 계속 가지고 있던 차에, 단편적으로는 알지만 사실은 뭔지 잘 모르는 '환율'이라는 것에 집중해서 나름 쉽게 설명한 책이라 읽는 내내 흥미도 유지되고 개념도 어느 정도 잡을 수 있어서 매우 도움이 되었다.
다만, 어려웠던 점은 쉽게 설명된 책이라고 해서 쉽게 이해되지는 않는다는 점이었다. 경제라는 것이 복잡계이므로 여기에서 외환에 대한 내용만 추출하는 것이 불가능한데 만약에 추출이 가능하더라도 외환시장이라는 것이 또 복잡계인 측면이 있어서, 설명 하나하나를 이해한 것 같아도 전체적으로 시스템이 동작하는 것을 머릿속에 그리는 것이 나 같은 문외한에게는 한 번에는 불가능하기 때문일 것이다. 외환시장이나 경제 시스템이 돌아가는 흐름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리마인드 차원에서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책일 수도 있겠으나, 그렇지 않은 사람이라면 일독후 바로 재독을 하면서 외환시장이 동작하는 방식과 경제와의 상호작용에 대해서 곱씹거나, 혹은 외워버리는 접근이 이 책의 효용을 극대화하는 전략이 아닐까 싶다.
스스로도 상술한 바와 같이 일독 후 곧바로 재독을 했고, 일에 치이는 와중에 꾸역꾸역 읽은 터라 충분히 내용을 이해하고 기억하지는 못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각나는 주요 내용을 정리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1) 고정환율은 위험하다. 변동환율은 경제 구성원들을 불편하게 만들지만 고정환율 제도를 채택하는 위험에 비하면 감수할만하다;
2) 달러/원 환율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경상수지와, 미국의 위험등급 회사채 금리가 있으며, 특히 위험등급 회사채 금리가 치솟을 때는 안전자산인 달러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달러 강세가 나타난다;
3) 한국 경제는 태생적으로 선진국, 특히 세계 제일의 소비시장인 미국의 소비 경기에 민감할 수밖에 없으며, 채찍효과에 의해 미국의 경기 상승과 하강에 따라 호황과 불황이 지속적으로 반복된다;
4) 대신 한국 경제의 불황 시에는 반대 급부로 달러화 강세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달러화 표시 자산을 포트폴리오에 일부 편입해두는 자산배분 전략이 매우 유효하다.

생각나지 않는 중요한 내용들은 세 번째 읽을 때 보충하기로 하고, 총평을 하자면 경제와 환율에 관심은 있지만 무지한 사람들에게는 적극 추천하지만, 관심이 없는 사람에게는 그저 이해도 안 되는 용어들이 난무하는 경제서의 하나가 될 뿐일 수 있어 추천하지 않는다. 평가: 상.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차멀미가 날 때는 앞을 봐야 한다

어릴 때 아버지께서 운전하시는 차를 타고 가족 여행을 가면 나는 꼭 어디에 도착해서야 잠에서 깨곤 했다. 그 때마다 조수석의 어머니께서는 좋은 경치는 하나도 못 보고 밥 먹을 때만 일어난다고 핀잔을 주곤 하셨는데, 아무리 깨어 있으려고 해도 차가 움직이기 시작하면 난 여지 없이 곯아떨어졌다. 성인이 된 후에 생각해보니 그 시절의 나는 차멀미를 했던 것이었다. 멀미라는 건 눈과 귀 - 정확히는 전정기관 - 에서 감지되는 움직임에 대한 정보 불일치를 뇌가 불편하게 느끼는 현상이라고 이해하면 얼추 맞을텐데, 차에서 스마트폰을 볼 때 속이 더 메슥거리거나, 운전자는 멀미를 하지 않는 걸 생각해보면 된다. 차멀미를 할 때는 먼 산을 보라거나, 창문을 열고 바깥 공기를 마시라거나 하는 민간요법이 전해지지만,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다 소용 없는 일이다. 달리는 차 창문을 열고 머리 날리게 바람을 맞으면서 볼 것도 없는 먼 산을 아무리 노려보고 있어도, 멀미는 잦아들지 않았다. 조수석에라도 앉을 수 있다면 좀 나았겠지만 조수석에 갈 짬은 전혀 아니었으니 가장 확실히 멀미를 피하는 방법은 잠들어 버리는 것이었는데, 이걸 어느 정도 인지한 다음에는 메슥거림이 느껴질 때는 일부러 눈을 감고 잠드려고 노력했던 것 같다. 아마 이 기전이 몸에 쌓이면서 차만 타면 자는 식으로 몸이 반응한 게 아닐까.  ""과학의 속도가 윤리적인 이해 수준을 넘어서면, 사람들은 각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표현하느라 애를 먹게 된다." 2004년 하버드 대학교의 철학자 마이클 샌델이 쓴 글이다." - 유전자 임팩트, p620. 어른이 되면서 멀미 자체에 대한 민감도도 떨어진데다 이제는 어디 갈 때 거의 운전석에 앉기 때문에 멀미에 시달릴 일은 거의 없다. 하지만 현기증이 날 정도로 급변하는 세상과 기술의 발전을 보고 있으면 가끔 속이 울렁거릴 때가 있는데, 이럴 때마다 어린 시절의 기억이 떠오르곤 한다. 케빈 데이비스, " 유전자 임팩트 ...

6살짜리 아이에게 지수 개념을 가르칠 수 있을까?

내 6살짜리 아이에게 얼마 전까지 세상에서 가장 큰 수는 '백천무한'이었다. 아직 하나하나 차근차근 세어 나가면 100 넘게도 셀 수 있긴 하지만, 여전히 68 다음은 뭐냐고 물으면 '13?' 이렇게 아무 숫자나 생각나는대로 얘기하는 게 아이의 수준인데, 백 다음에는 천이 있고, '무한'이라는 개념이 존재한다는 걸 어디서 줏어들은 모양인지, '엄청 많다'는 얘기는 모두 다 '백천무한개'로 퉁치던 게 불과 한두달 전이다. 그런데 어느 순간 이 녀석이 '조'라는 게 있다던데, 이러면서 또 아는 척을 하기 시작했다. 머리가 아파온다. '억'이라는 단위가 있는 줄도 모르는 아이에게 이걸 어떻게 설명해줘야 하나? 일단 '만'과 '조' 사이에는 '억'이라는 게 있다고 설명은 해 줬는데, 사실 '만'과 '조' 사이에는 '억' 말고도 '십만', '백만', '천만'도 있고, '십억', '백억', '천억'도 있으며, 조 다음도 같은 모양이로 계속 늘어난다는 것은 또 어떻게 설명해주면 되지? "또한 우리는 모두 머리 속에 일종의 숫자 선, 즉 마음 속 숫자 축을 갖고 있어, 계산할 때 그 축 위에서 움직이는 법을 배운다." - 우리의 뇌는 어떻게 배우는가, p208. 나름 고등교육을 받아서, 실수 축과 허수 축, 도메인 전환과 같은 개념을 섭렵한 아빠와 달리 이제 6살인 아이는 실수 축에서 정수, 그 중에서도 자연수 영역의 일부에 대해서 이런 심상을 만들어가야 하는 단계인데, 여기서 1씩 세기로 가기에는 억이니 조니, 너무나 험난한 영역의 얘기인 것이다. "놀랍게도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가 2차원 지도상에서 데이터를 나타내는 걸 배울 때 이 영역이 활성화된다. 그 데이터가 공...

더 이상 핑계는 통하지 않는다

달라이 라마, " 달라이 라마의 행복론 ", 김영사, 2001. 하도 오래 전이라 확신은 없지만, 시작은 이 책이었던 것 같다. '깨어있음' 혹은 '알아차림'이라는 개념을 마음 한 구석에 가지기 시작했던 것은. 거의 20년 전에 - 출간년도를 확인해보니 2001년이다 - 읽었던 책이라 각론이든 총론이든 아무 것도 기억나는 것은 없지만, 표지 사진 속 아이의 얼굴과, 무엇을 하든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아차리는 상태에 있는 것이 중요하다는 개념만은 기억 속에 박혀 있었다. 이 '알아차림'이라는 개념은 시간이 흘러 '마음챙김(mindfulness)'이라는 개념으로 다시 다가왔다. 어떻게인지는 모르겠지만 페이스북 알고리즘이 나에게 마음챙김 운운하기 시작한지도 몇 년은 된 것 같다. 아이가 태어나고 스스로 더 나아지기 위해 발버둥치면서 읽은 많은 책에서도, '명상' 혹은 '마음챙김'의 혜택을 말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소위 비판적인 사고를 하는 나는, 적극적으로 마음챙김을 실천하기 위해 시간을 내기에는 그 혜택이 명확하지는 않은 것 같다는 핑계를 대며 적극적으로 마음챙김 수행 혹은 명상이라는 것을 시도해보지 않았다. 핑곗거리를 잃어버리다 샤우나 샤피로, " 마음챙김 ", 안드로메디안, 2021. "심리적, 인지적, 신체적 건강 영역에서 마음챙김 수행의 중요한 이점을 확인해준 연구는 수 없이 많다." - 마음챙김, p81. 이건 뭐 '닥치고 해봐야 되는' 수준이다. 이렇게나 다양한 혜택이 수많은 연구결과를 통해 뒷받침되고 있을 거라고까지는 생각해보지 못했다. 책에서 소개한 이점들에 붙어 있는 참고문헌과 각 인용 수 및 수록된 저널의 영향력 지수 를 정리해봤다(인용은 Google Scholar 검색시점 기준, 영향력 지수는 Wikipedia 기준). 내가 이걸 왜 시작했지...ㅡ.ㅡ; 심리적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