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비트코인은 왜 통화로써 기능할 수 없나?

홍춘욱, "50대 사건으로 보는 돈의 역사"를 읽고 하는 뻘 생각

개인적으로 굉장히 신뢰하는 소스로부터의 강력한 추천이 있어 굳이 새 책을 바로 주문해서 연달아 두 번 읽은 책이다. 역사라는 이야기를 통해 경제와 경제를 움직이는 돈의 힘에 대해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매우 좋은 책이고, 직전에 읽은 "환율의 미래"와 함께 읽는 것으면 경제라는 시스템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이해하는 첫걸음으로 완벽하지 않을까 싶다고 경알못으로서 생각해본다.

그건 그렇고, 이 책을 읽으면서 책해는 한마디 언급도 없는 비트코인에 대해 생각해보게 됐는데, 이와 관련하여 조악하게나마 이 책을 통해 화폐에 대해 이해한 바를 바탕으로 비트코인에 대해 뻘생각을 펼쳐보려고 한다.
1) 화폐는 가치를 측정하는 도구이다.
2) 화폐의 양은 일정한데 가치의 총량만 늘어나면 물건의 가격이 감소하고(디플레이션), 이는 곧 가치를 증가시키려는 경제 구성원의 동인을 제거하기 때문에 가치의 총량을 감소시킨다.
3) 화폐의 양은 일정한데 가치의 총량이 줄어들면 물건의 가격이 증가하고(인플레이션), 2와 3을 반복한다.
4) 혹은 가치의 총량 대비 화폐의 양이 지나치게 많아지거나, 적어졌을 때도 각 3과 2 같은 상황이 벌어진다.
5) 즉, 화폐의 양이 가치의 총량과 함께 '적절히' 늘어나야 전체 경제가 성장한다.
6) 수확체증이 작용하는 산업혁명 이후의 세상에서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가치의 총량을 측정하기에는 금이나 은 같은 귀금속의 양은 한정적이었으므로, 금본위제는 제대로 유지되면 디플레이션을 피할 수 없고, 제대로 유지되지 않으면(금 없이 돈을 발행하면) 하이퍼 인플레이션을 피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7) 이에 따라 세계적으로 금본위제를 탈피하는 움직임이 있었고, 역사적으로 불황의 빈도가 줄어들었다.
8) 그 와중에 기축통화인 달러에 대한 고정환율제도를 운영하는 나라는 자국 내 경제에 대한 제어력이 제한되며, 우리 나라의 외환위기는 여기서 기인했다고 봐야 한다.

여기서 비트코인은 태생적으로 총 발행량이 정해져 있는 화폐이다. 비트코인이 화폐로서 기능할 수 있다는 믿음의 총량에 비례하여 비트코인의 총량이 측정하는 가치의 총량이 늘어날수록 역설적으로 비트코인의 가치가 늘어나므로, 비트코인을 보유한 사람들은 비트코인을 실물 혹은 기타 화폐로 교환하지 않으려 할 것이고, 이에 따라 물건에 대한 지불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잃어버리게 될 것이다. 하지만 반면에 금과 마찬가지로 비트코인에 대한 어떠한 신뢰의 총합이 비트코인을 안전하며 다른 자산 대비 높은 실제 가치를 갖는 어떤 것으로 만들어줄만큼 공고해진다면, 금과 같은 안전자산으로서 지위를 갖게 될 지도 모르겠다. 그렇다면 자산 분배 관점에서 유동자산의 최대 2~3% 정도는 비트코인으로 구성해둬도 나쁘지는 않겠다는 뻘생각을 해 본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외국보다 한국 초코파이가 초코 함량이 더 높은 이유

여느 몹쓸 공돌이 개그  언젠가 돌아다니던 초코파이 초코 함량 계산식. 답은? 무려 약 31.8%다. 이 정도면 빈츠보다도 높은 함량일지도.. 자고로 무릇 공대생 혹은 공돌이라 하면 '일반인' - 여기서는 비 공대인 -이라면 알 필요도 없는 기호로 범벅이 된 수식을 붙들고 밤을 샌다든지, 거기서부터 파생된 온갖 과제를 하느라 밤을 샌다든지, 아무튼 이런저런 이유로 '자기들끼리' 머리를 싸메고 수시로 밤을 새기 마련이다. 일반적으로 밤을 샌다는 건 낮으로는 부족하다는 뜻이고 곧 '일반인'들과의 소통의 기회가 줄어든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러다보면 시나브로 쌓이는 전공 지식과 함께 '바깥 세상'에 대한 환상 그리고 '일반인'들과의 유머적 단절에 대한 두려움도 어느 정도씩 키우게 되는데, 이런 것들을 비틀어 탄생한 것이 공대 개그 혹은 공돌이 개그이다. 예를 들어 '외국보다 한국의 초코파이가 초코 함량이 더 높은 이유'를 자연스럽게 떠올릴 수 있다면 당신도 훌륭한 공돌이일 가능성이 높은데(힌트는 위 수식을 영어로 바꿔보라는 것이고, 답은 마지막에..), 무릇 공돌이라 하면 이렇게 공돌이를 위한 개그를 이해하고 웃을 수 있는 소양을 갖추게 되고, 일반인들은 해설이 있어도 결코 이해할 수 없는 수준의 개그까지도 즐기면서 모종의 동질감을 느끼기 때문에, 다시 일반인들과의 유머적 단절은 더 공고해진다. 이런 거에 웃고 있을 때가 아니라는 걸 어느 순간 깨달았다. - 출처: 나무위키 ' 공대개그 ' 페이지. 나 또한 정통한 공돌이로서 - 입사 전까지 같은 건물에 10년을 들락거렸다! - 유사한 과정을 거쳤고, 일요일 밤을 지배하던 주류 개그는 1도 모르지만 각종 공돌이 개그에는 피식거리는 단계에 도달했던 시기가 있었는데, 어느 날 이런 상황에 심각한 위기 의식을 느꼈다.  이대로 가다간 정말로 '질량이 없는 물질'만 만날 위기에 처해 있었던 것이다. 그 날로 있는

차멀미가 날 때는 앞을 봐야 한다

어릴 때 아버지께서 운전하시는 차를 타고 가족 여행을 가면 나는 꼭 어디에 도착해서야 잠에서 깨곤 했다. 그 때마다 조수석의 어머니께서는 좋은 경치는 하나도 못 보고 밥 먹을 때만 일어난다고 핀잔을 주곤 하셨는데, 아무리 깨어 있으려고 해도 차가 움직이기 시작하면 난 여지 없이 곯아떨어졌다. 성인이 된 후에 생각해보니 그 시절의 나는 차멀미를 했던 것이었다. 멀미라는 건 눈과 귀 - 정확히는 전정기관 - 에서 감지되는 움직임에 대한 정보 불일치를 뇌가 불편하게 느끼는 현상이라고 이해하면 얼추 맞을텐데, 차에서 스마트폰을 볼 때 속이 더 메슥거리거나, 운전자는 멀미를 하지 않는 걸 생각해보면 된다. 차멀미를 할 때는 먼 산을 보라거나, 창문을 열고 바깥 공기를 마시라거나 하는 민간요법이 전해지지만,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다 소용 없는 일이다. 달리는 차 창문을 열고 머리 날리게 바람을 맞으면서 볼 것도 없는 먼 산을 아무리 노려보고 있어도, 멀미는 잦아들지 않았다. 조수석에라도 앉을 수 있다면 좀 나았겠지만 조수석에 갈 짬은 전혀 아니었으니 가장 확실히 멀미를 피하는 방법은 잠들어 버리는 것이었는데, 이걸 어느 정도 인지한 다음에는 메슥거림이 느껴질 때는 일부러 눈을 감고 잠드려고 노력했던 것 같다. 아마 이 기전이 몸에 쌓이면서 차만 타면 자는 식으로 몸이 반응한 게 아닐까.  ""과학의 속도가 윤리적인 이해 수준을 넘어서면, 사람들은 각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표현하느라 애를 먹게 된다." 2004년 하버드 대학교의 철학자 마이클 샌델이 쓴 글이다." - 유전자 임팩트, p620. 어른이 되면서 멀미 자체에 대한 민감도도 떨어진데다 이제는 어디 갈 때 거의 운전석에 앉기 때문에 멀미에 시달릴 일은 거의 없다. 하지만 현기증이 날 정도로 급변하는 세상과 기술의 발전을 보고 있으면 가끔 속이 울렁거릴 때가 있는데, 이럴 때마다 어린 시절의 기억이 떠오르곤 한다. 케빈 데이비스, " 유전자 임팩트 &qu

호르몬 불균형과 지방, 그리고 치즈

 호르몬 불균형은 건강에 좋지 않다.  주로 호르몬이 부족하니 뭔가로 보충해야 한다는 쪽으로 이야기가 흘러가는 것 같긴 하지만, 이 주장에 동의하는 것 자체는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닌 것 같다. 뭐든 균형 잡힌 게 좋은 법이니까. 하지만 문제는 부족하니 보충해야 한다는 말은 많은데 너무 넘치니 줄여야 한다는 말은 별로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구글에 '에스트로겐'과 '식품'을 한글과 영문으로 검색해보면, 어느 쪽이든 건강과 미용에 좋은 에스트로겐이 부족한 갱년기에 이것이 풍부한 음식을 먹으라는 소개 페이지만 잔뜩 검색된다. 물론 여기에 소개되는 음식은 거의 '식물성' 에스트로겐을 함유한 호박, 쥐눈이콩, 석류 같은 것들이긴 하지만, 아무튼 과다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페이지는 보이지 않는다. 닐 바너드, "건강 불균형 바로잡기", 브론스테인, 2021. 닐 바너드의 <건강 불균형 바로잡기>는 에스트로겐을 비롯한 호르몬의 불균형, 그 중에서도 주로 과다한 호르몬이 어떤 건강 문제들을 일으키는지, 그리고 호르몬 과다를 일으키는 원인과 이를 바로잡기 위한 식습관을 알려주는 책이다. 호르몬 불균형이 일으킬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과 식습관 개선을 통해 극적으로 개선된 사례들, 그리고 그 밑바탕에 깔려 있는 의학적 연구 결과들을 다양하게 알려준다. 물론 우리가 <영양의 비밀>을 통해 이미 알고 있듯이 우리 몸이 어떤 영양소에 반응하는 정도는 사람마다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여기 소개된 극적인 사례들이 당장 나에게도 그대로 적용된다는 법은 없다. 하지만 호르몬과 건강에 대해 현대 과학이 밝혀낸 가장 신뢰성 높은 지식을 바탕으로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식습관을 만들어가는 것은 '행복에 있어 건강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정하는 사람이 할 수 있는 가장 안티프래질한 전략일 것이다. "밝혀진 바로 유방암의 최대 위험인자는 호르몬, 그 중에서도 에스트로겐이다."